반응형
Q. 전자세금계산서를 처음 발행할 때 하기 쉬운 실수가 있어?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할 건?
A.
전자세금계산서를 처음 발행할 때 자주 발생하는 실수가 몇 가지 있습니다. 이러한 실수는 세금 신고나 거래처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발행 전후로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실수 유형과 주의사항을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
⚠️ 1. 자주 발생하는 실수
- 거래처 정보 오입력
- 사업자등록번호, 상호명, 대표자명을 잘못 입력
- 공급받는자의 주소, 업태·종목 틀림
➡️ 국세청 사업자등록 상태 조회로 거래처 정보를 미리 확인!
- 공급가액과 부가세 잘못 입력
- 공급가액(세전 금액)과 부가세(세금)을 헷갈려 잘못 입력
- 부가세를 빼먹거나 합계금액을 잘못 계산
➡️ 공급가액과 부가세가 올바른지, 자동 계산 여부 확인!
- 작성일자 오류
- 실제 거래일과 작성일자가 다름
- 월 마감일이나 익월 10일 발행 기한을 놓침
➡️ 거래일 기준으로 정확히 작성, 기한 준수!
- 품목명 부정확
- "기타", "상품" 등 구체적이지 않은 품목명 사용
- 품목 수량·단가 누락 또는 오기입
➡️ 품목명, 수량, 단가를 구체적으로 입력!
- 과세/면세 구분 오류
- 과세, 면세, 영세율 구분을 잘못 선택
- 예) 주택 임대는 면세, 상가 임대는 과세
➡️ 사업 유형에 따라 과세 구분을 정확히 선택!
- 수정세금계산서 발행 미흡
- 실수했는데도 정정 없이 방치
- 수정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고, 기존 것을 취소하려 함
➡️ 잘못된 세금계산서는 반드시 수정세금계산서로 올바르게 정정!
- 발행 기한 초과
- 익월 10일까지 발행하지 않아 불이익 발생
➡️ 거래 발생 월의 다음 달 10일 전까지 발행 필수!
- 익월 10일까지 발행하지 않아 불이익 발생
✅ 2.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 공급자·공급받는자 정보
- 사업자등록번호, 상호, 대표자명, 주소 정확히 입력
- 💸 공급가액 & 부가세
- 공급가액(세전)과 부가세(10%) 정확히 구분
- 📝 작성일자
- 거래일 기준 작성, 마감일(익월 10일) 준수
- 📦 품목명, 수량, 단가
- 품목은 구체적으로, 수량·단가 입력 누락 없이 작성
- 🔄 과세 유형 확인
- 과세/면세/영세율 올바르게 선택
- ⏰ 발행 여부 확인
- 발행 후 거래처에 정상 발송됐는지 확인
- 홈택스에서 발행 상태 조회
- 📑 수정세금계산서 처리
- 오류 발생 시 즉시 수정세금계산서 발행
💡 Tip! 실수 방지하는 방법
- 국세청 홈택스 → 사업자등록상태조회로 거래처 정보 확인
- 세금계산서 미리보기로 발행 전 꼼꼼히 검토
- ERP나 회계 프로그램 사용 시 자동 계산 기능 활용
- 마감일(익월 10일) 전 미리 발행하도록 일정 관리
처음에는 실수가 있을 수 있지만, 위의 체크리스트만 꼼꼼히 확인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반응형
'AI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와 정리해 봅시다 - 공동인증서 (feat. 은행인증서) (1) | 2025.01.18 |
---|---|
AI에게 배워보는 세금 신고 - '전자세금계산서' 실전 질문? (1) | 2025.01.17 |
AI에게 배워보는 세금 신고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방법 (1) | 2025.01.15 |
AI에게 배워보는 세금 신고 - '전자세금계산서'란? (1) | 2025.01.14 |
AI에게 배워보는 세금 신고 - 부가가치세 5 (feat. 오피스 임대업) (2)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