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이야기

AI에게 배워보는 세금 신고 - '전자세금계산서' 실전 질문?

by 이도양 2025. 1. 17.
반응형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해 알아보는 김에 

친구에게 질문받은 내용을 올려보려 한다.

 

직접 알아봐도 될텐데, 블로그에 글 하나 더 쓰라고 질문거리를 던져주는 친구..

고맙다!  

 

자, 챗GPT씨. 같이 일을 해보자!

 

 

 

Q. 예를 들어 임대료를 받기로 한 날이 매달 15일이라고 했을때, 임대료가 제 날짜에 안 들어오면?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일을 임대료를 받은 날로 적어야 할까, 아니면 원래 받기로 계약서에 명시된 15일로 적어야 할까?

 

 

A.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일은 실제 임대료를 받은 날(공급일자) 기준으로 발행해야 합니다. 계약서에 명시된 임대료 지급일(예: 매달 15일)이 아니라, 실제로 임대료가 입금된 날을 기준으로 발행해야 세법상 문제가 없습니다.


임대료의 공급시기 기준

  • 용역(임대)의 공급시기대금을 청구하거나 받는 날입니다.
  • 임대료는 일반적으로 선청구 후지급 방식이기 때문에, 임대료 입금일을 기준으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합니다.

 

 

📌 상황별 발행 기준

 

1️⃣ 임대료가 제때(15일)에 입금된 경우

  • 공급일자: 15일
  • 발행기한: 다음 달 10일까지 발급

2️⃣ 임대료가 늦게(예: 17일) 입금된 경우

  • 공급일자: 17일(입금된 날)
  • 발행기한: 다음 달 10일까지 발급

3️⃣ 선불로 임대료를 받은 경우

  • 공급일자: 돈을 받은 날

4️⃣ 미리 청구했지만 입금이 늦어진 경우

  • 공급일자: 실제 입금일 기준 발행

 

 

주의사항

  • 임대료가 언제 입금될지 몰라서 미리 15일에 발행하는 건 가산세 위험이 있습니다.
  • 실제 입금일과 발행일이 다르면, 세무서에서 문제 삼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만약 실수로 잘못 발행했다면 수정세금계산서로 정정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계약상 지급일: 매달 15일
  • 실제 입금일: 17일

✔️ 올바른 발행 방법

  • 공급일자: 17일
  • 발행기한: 다음 달 10일까지

💡 Tip: 임대료가 불규칙하게 입금된다면, 입금 확인 후 즉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도록 알림을 설정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Q. 전자세금계산서를 영수, 청구로 선택해서 구분하게 되어 있던데,

임대료가 늦게 들어오는 달엔 계약서에 명시된 날, 예를 들어 15일로 적고 청구로 표시해서 발행하면 안돼?

 

 

A. 

전자세금계산서에서 **"영수"**와 "청구"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거래 방식에 따라 달라지지만, 임대료와 같은 거래에서는 일반적으로 **"영수"**로 발행해야 합니다.

 

 

"영수"와 "청구"의 차이

  • 영수: 대금을 이미 받았을 때 발행 → 실제 돈을 받은 날 기준
  • 청구: 대금을 아직 받지 않았을 때 발행 → 미리 청구하는 경우

 

 

📌 임대료 상황에서 어떻게 선택할까?

 

1️⃣ 임대료가 제때 입금된 경우

  • 영수 선택
  • 공급일자: 실제 입금일(예: 15일)

2️⃣ 임대료가 늦게 입금된 경우

  • 입금 전: 15일에 청구로 발행 가능 → 아직 돈을 받지 않았으므로 청구
  • 입금 후: 실제 입금일에 영수로 발행해야 함 → 세법상 원칙

 

 

주의해야 할 점

  • 청구로 발행한 후에도 실제 입금일에 맞춰 반드시 영수로 발행해야 합니다.
  • 청구 발행만으로는 부가가치세 신고가 완료되지 않습니다.
  • 청구 발행 후 7일 이내에 돈을 받으면 수정 없이 영수 발행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그 이상 지연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부가가치세 신고영수 기준으로 해야 하므로, 잘못 발행하면 가산세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임대료 늦게 입금 시 올바른 발행 방법

 

✔️ 15일에 입금 예정15일에 청구 발행 가능
✔️ 17일 실제 입금17일에 영수 발행 필요

만약 15일에 청구 발행하고 17일에 영수 발행을 깜빡하면 세무상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입금 확인 후 영수 발행을 꼭 해야 합니다!

 

 

추천 방법

  • 입금일 확인 후 바로 "영수"로 발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매월 자동이체입금 확인 알림을 설정해서 실수 없이 처리하세요.

 

💡 Tip: 임차인과 계약할 때, 임대료와 부가가치세를 명확히 나누고,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일도 사전에 안내하면 혼선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